법적근거
# 공무원노조법
제17조(다른 법률과의 관계)
② 공무원(제6조제1항제4호에 해당하는 사람을 포함한다)에게 적용할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에 관하여 이 법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해서는 제3항에서 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노조법
제13조(변경사항의 신고등)
②노동조합은 매년 1월 31일까지 다음 각호의 사항을 행정관청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전년도에 변경신고된 사항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개정 1998. 2. 20., 2001. 3. 28.>
1. 전년도에 규약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규약내용
2. 전년도에 임원의 변경이 있는 경우에는 변경된 임원의 성명
3. 전년도 12월 31일 현재의 조합원수
제96조(과태료)
②제13조, 제28조제2항 또는 제31조제2항의 규정에 의한 신고 또는 통보를 하지 아니한 자는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에 처한다.
# 노조법 시행규칙
[별지 제8호서식] 노동조합 현황 정기 통보서
노조법 제13조 제2항에 따라 노동조합의 대표자는 공무원노조법 시행규칙 별지 제8호 서식의 노동조합 현황 정기통보서를 작성하여 매년 1월 31일까지 고용노동부장관(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이 경우 임원은 그 노동조합의 규약상 임원으로 정해진 자를 의미하며, 2 이상 기관의 공무원으로 구성된 단위 노동조합의 경우에는 기관별로, 연합단체인 노동조합의 경우에는 구성원인 노동조합별로 작성해야 합니다.
또한 노동조합 현황 정기 통보 미이행 시에는 공무원노조법 제17조 및 노조법 제96조 제2항에 따라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공무원노사관계100문100답 > 공무원노동조합의 설립과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약상 선거권을 제한하고 있는 조합비 미납자를 위원장 선거 시 재적 조합원에 포함되나요? (0) | 2021.08.05 |
---|---|
노동조합 사무실에 비치해야 하는 서류가 있나요? (0) | 2021.08.05 |
노동조합 설립 후 변경 신고는 언제 하나요? (0) | 2021.08.05 |
노동조합 설립 후 조직 구성은 어떻게 하나요? (0) | 2021.08.04 |
공무원도 복수노조 설립이 가능한가요? (0) | 2021.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