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기간 및 개인사유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결근기간 중에 포함된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적용 여부
☞ 고용노동부 / 임금근로시간과-1744
☞ 회시일 : 2021-08-04
【질 의】
■ 파업기간 및 개인사유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결근기간 중에 포함된 관공서 공휴일의 유급휴일 적용 여부
【회 시】
■ 쟁의행위시의 임금지급에 관하여 단체협약취업규칙에서 규정하거나 당사자 사이의 약정이나 관행이 있다고 인정되지 않는 한, 근로자의 주된 권리·의무가 정지되어 근로제공을 하지 아니한 쟁의행위기간 동안에는 근로제공의무와 대가관계에 있는 근로자의 임금청구권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하며,
이에 따라 그 기간 중에 포함된 관공서 공휴일에 대하여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는 유급휴일로 보장할 의무를 지는 것은 아닙니다.(대법원 1995.12.21. 선고 94다267721, 대법원 2009.12.24. 선고 2007다73277, 2013.11.28. 선고 2011다39946 참조)
■ 그러나, 개인적 사정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아니한 결근기간(이하 ‘무단 결근기간’) 중에는 근로자의 주된 권리·의무가 정지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개별 근로자의 근로제공의무의 불이행만 남게 되는 것으로,
- 사용자는 여전히 노무지휘권을 행사할 수 있고, 근로자도 여전히 근로제공의무를 부담하는 평상적인 근로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므로, 동 기간 중의 관공서 공휴일에 대하여는 유급휴일수당을 지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 다만, 예외적으로 무단 결근기간이 상당기간 지속되는 등 더 이상 해당 근로자의 근로제공을 기대하기 어려워 평상적인 근로관계가 단절되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경우에는 무급처리하는 것도 가능할 것입니다.
'노사디테일 > 집단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사협의회 의결(합의)사항의 효력 (0) | 2023.02.14 |
---|---|
단체협약의 효력 범위와 단체협약 시정명령 (0) | 2022.12.16 |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1개 노조만 교섭창구단일화에 참여한 경우 교섭대표노조 지위 확보 여부 (0) | 2022.12.15 |
노조가 1개뿐인 사업장에서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거친 경우, 교섭대표노동조합 지위 인정 여부 (0) | 2022.12.15 |
하나의 노동조합 내 직렬별로 교섭단위 분리신청이 가능한지 여부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