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교섭창구단일화 절차에 단수노조만 참여한 경우 단수노조가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를 가지는지 여부
☞ 고용노동부 / 노사관계법제과-1141
☞ 회시일 : 2020-04-23
【질 의】
■ B노조의 신설로 복수노조가 된 사업장에서 A노조가 임금교섭 요구하여 사용자가 노동조합 교섭요구 사실공고를 하였으나, B노조가 공고기간 내에 참여하지 않아 A노조만 교섭에 참여하였다고 교섭요구노동조합 확정공고를 함.
- 복수노조 사업장에서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거친 결과 단수노조만 참여하게 된 경우, 단수노조가 교섭대표노동조합의 지위를 가질 수 있는지 여부
【회 시】
■ 대법원은 해당 노동조합 이외의 노동조합이 존재하지 않아 다른 노동조합의 의사를 반영할 만한 여지가 처음부터 전혀 없었던 경우에는 이러한 교섭대표노동조합의 개념이 무의미하다고 판시하고 있음.(대법 2017.10.31. 선고 2016두36956 판결 참조)
■ 따라서, 대법원 판례 취지와 같이 하나의 사업(장)에 복수의 노조가 존재하여 교섭창구단일화 절차의 전제조건을 충족하였으나 B노조가 스스로 교섭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포기하여 불가피하게 A노조만이 교섭요구노조로 확정된 경우
- A노조의 교섭대표노동조합 지위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노조와 사용자의 반목·갈등, 단체교섭의 효율성 저하 및 비용증가 등의 문제를 발생시켜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입법취지를 저해하는 결과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A노조가 교섭대표노조의 지위를 갖는 것이 타당함.
반응형
'노사디테일 > 집단관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근 기간 중 포함된 관공서의 공휴일의 유급 휴일 적용 여부 (0) | 2022.12.17 |
---|---|
단체협약의 효력 범위와 단체협약 시정명령 (0) | 2022.12.16 |
노조가 1개뿐인 사업장에서 교섭창구단일화 절차를 거친 경우, 교섭대표노동조합 지위 인정 여부 (0) | 2022.12.15 |
하나의 노동조합 내 직렬별로 교섭단위 분리신청이 가능한지 여부 (0) | 2022.12.14 |
경쟁 회사 노조 간부가 교섭에 참여할 수 있는지 여부 (0) | 2022.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