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단시간근로자 근로일별 근로시간 서면명시 관련
☞ 고용노동부 / 고용차별개선과-2744
☞ 회시일 : 2016-12-16
질의
┌─────────────────────────────────────┐
[사실관계]
│○ 근로계약서에 주 소정 근로시간만 정하고, 근로일 및 근로시간은 주 소정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운영한다고 규정 │
│ - 근로계약서 부속서류로 주간근무스케줄표를 당사자간 협의 하에 작성하여 일주일이 시작되기 최소 3일 전 모두 공지하고, 이를 통하여 근로자들이 근로일 및 근로일별 시업과 종업시간을 알 수 있음 │
└─────────────────────────────────────┘
○ 이 경우 「기간제법」 제17조제6호에 따른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 서면명시 의무 위반인지 ? (과태료 부과 대상인지)
회시
○ 「기간제법」 제17조에서 단시간근로자와의 근로계약 체결 시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을 서면으로 명시하도록 규정한 취지는,
-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은 단시간근로자의 핵심 근로조건이므로 사용자의 일방적인 의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방지하고 당사자의 진정한 의사에 기한 합의에 따라 정해지도록 함으로써 근로조건을 보호하는 한편, 향후 분쟁 발생 시 신속·명확한 해결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임.
- 따라서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을 근로계약 체결 시 계약서에 명시하도록 염격히 규제할 필요가 있음
○ 원칙적으로 근로계약 체결 시 근로계약서에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을 명시적으로 기재하지 않으면 「기간제법」 제17조 위반에 해당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나,
- 근로일 및 근로일별 근로시간이 수시 변경됨에 따라 편의상 근로계약서에는 주간근무계획표에 의한다는 규정을 하고, 운영과정에서 주간근무계획표가 확정되기 이전에 근로자가 이를 확인하고 서명하는 절차를 거쳤다면,
- 이는 근로계약서에 명시한 것에 준하여 근로자의 진정한 의사가 반영된 서면에 명시한 것이라고 볼 수 있으므로, 이 경우까지 서면명시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됨.
'노사디테일 > 비정규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 중 가산임금 지급 기준 (0) | 2023.01.12 |
---|---|
비정규직근로자에 대한 식대 미지급 등이 차별적 처우에 해당하는지 (0) | 2023.01.11 |
초단시간 근로자 판단기준과 정규(무기계약)직 전환 여부 (0) | 2023.01.10 |
단시간근무 파견근로자의 초과근무 가산수당 지급 여부 (0) | 2023.01.10 |
소득수준에 따른 기간제법상 사용기간제한 예외 해당 여부 (0) | 2020.04.03 |